Page 86 - 2025학교교육계획서
P. 86

Ⅵ. 지역  사회와  함께하는  더불어  교육

              56 교육실습(학교현장실습학기제) 운영 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구개발부
               56




            ❙목적
             ❙목적
              •  전공  과목의  교과  지식과  교육  이론 및 교수·학습 방법을  학교에  직접  적용할  수  있는  기회 제공
              •  교과  수업 및 학급  경영에 관한  실무적인  경험을 통해  교사의 역할을  배울 수 있는  기회  제공
              • 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를  통해 자율활동,  진로활동,  봉사활동, 동아리활동을  익힐 수 있는  기회  제공



            ❙추진 방향
             ❙추진 방향
                교육 실습  효과  제고를  위해  학교현장실습학기제로  실시
                사범대학과 협의하여 교육실습 실시  전에  교육실습  대상자  논의
                담당 교사  당  교육실습생은 최대  2명으로 배정,  담당 학급  당  교육실습생도 최대  2명으로 배정
                수업 실습  시에는 반드시  담당 교사가  임장함을  원칙으로  함


            ❙세부추진계획
             ❙세부추진계획

              구분      단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활동  내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담당자
               운      준비      • 실습운영계획  수립 및 운영계획서  작성
               영     (~직전     • 실습실  환경 조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구개발부장
               전      방학)     • 실습생  예비소집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급운영  및
                    [활동영역]      교육과정           수업            평가                      교직실무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활교육
                      적응        교육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직실무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관  준비       평가  관리       사전  협의
                     (1~3주)      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해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육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급
                    책임준비       편성∙운영의         참관  및       평가  계획        담임업무         현장실무        학교장, 교감
               운     (4~7주)                    실습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서별  실습      연구개발부장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관
               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급담임교사
               중                교육과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급                     교과담임교사
                    상호책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장실무         행정부장
                    (8~14주)    편성∙운영의        수업  실습       평가  실제        담임업무        부서별  실습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실습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학급운영  및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교육과정
                      평가                     수업  성찰                     생활교육         현장실무
                     (15주)        영역          및  평가        종합평가           영역           평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종합평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종합평가
               운              • 결과보고회  참석
               영    결과보고      • 결과보고서  제출(시교육청 양식 활용)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연구개발부장
               후              • 예산  정산서 제출(시교육청 양식  활용)


               기대효과
            ❙기대효과
             ❙
              교육실습을  통해 교직에  대한 적성과  능력 검증  기회  제공
              예비  교원의  교육과정,  수업지도, 평가의  현장 역량  제고
              교육실습  내실화 및 교직  전문성 신장  요구에 부응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5 학교교육계획서 • 85
   81   82   83   84   85   86   87   88   89   90   91